Trans4mind Korea Newsletter
마음 혁명 이야기
2019
년 2월 14일(제75호) 글쓰기에 관하여
발행인 : 유철기

우리는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통로가 많은 세상에 살고 있다. 그러다 보니 말과 글로
구설수에 오르는 사람들도 많고, 특정한 글들이 순식간에 많은 사람들에게 유포되어 논란이 되는 일 또한 비일비재하다. 석가모니의
가르침 중에 가진 것이 없어도 누구나 베풀 수 있다는 7가지 보시(布施; 자비심으로 남에게 재물이나 불법을 베풂)가 있고, 그
중에는 말로 베풀 수 있다는 ‘언시(言施)’가 있다. 우리가 쓰는 말로 얼마든지 다른 사람에게 베풀 수 있다는 내용이다. 글도
마찬가지다. 우리가 쓰는 글의 내용에 따라 읽는 사람에게 좋은 느낌을 줄 수도 있고,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. 특히 글로 쓰는
내용은 기록으로 남는다는 점에서 말보다 더 신중을 기해야 하고, 쓰는 단어의 취사선택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.
글
쓰기는 과거를 성찰하고, 현재를 비추며,
미래를 상상하여 표출하는 삶의 도구며 역사다.
우리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시도 때도 없이 글을 쓰고 유포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.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이 쓰는 글 속에 사람의 냄새와 잔잔하게 흐르는 정을 담아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.
신간 1% 부자의 비밀 출간 안내

글쓰기의 기술은 당신이 믿는 것을 발견하는 기술이다. -귀스타브 플로베르
독서는 완전한 사람을 만들고, 회의는 준비된 사람을 만들며, 글쓰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. -프란시스 베이컨
좋은 글쓰기는 비가 온다는 사실이 아니라 비를 맞는 느낌을 독자가 느끼도록 일깨워주는 것이다. -E. L. 닥터로
글쓰기는 정신적으로 자극을 주는 것이다. 글쓰기는 마치 당신이 항상 무엇인가를 생각하도록 만드는 수수께끼와 같다. -스테파니 짐발리스트
글쓰기는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. 글쓰기는 생각, 아이디어, 의견에 대해 공유하기를 바라는 인간의 상태의 일부분이다. -파울로 코엘료
좋은 글쓰기의 정신과 영혼은 탐구에 있다.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찾아낼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써야한다. -로버트 J. 소이어
지난 뉴스레터 보기
트랜스포마인드코리아 I 지혜와 영감의 글 I 자기개발 훈련 코칭 I 뉴스레터 추천하기 I 문의 및 연락하기
본 뉴스레터는 구독 신청자에게
발송됩니다. 구독을 원치 않을 경우 언제든지 취소가 가능합니다. 구독취소요청하기
YouTube 복공자(HSR)TV 바로가기